[BL소설] 오니 – U채 리뷰

bl소설

판타지물, 신분차이, 할리킹, 힐링물

스토리:★★★★★(독특한 소재)

수위:★★★☆☆(수위 괜찮음)

재탕여부:★★★★☆(재탕할만 함)

전체평:★★★★☆(재밌음)

*지극히 주관적인 bl소설 리뷰입니다.*

등장인물

이안 소노프(공): 대공공, 마법사공, 능력공, 안하무인공, 미적감각떨어지공, 집착공, 츤데레공

오니(수): 미인수, 날개족수, 아방수, 머리꽃밭수, 순진수, 병약수

줄거리(스포주의)

제국에서 나오는 쓰레기를 모아두는 곳을 사람들은 ‘더미’라고 부릅니다.

온통 회색빛인 그곳에 어느 날 알이 버려지고 그 속에서 하얀 날개를 가진 날개족 아이가 태어납니다.

그 아이는 더미에 살던 ‘찌꺼기’라는 이름의 남자에게 주워지고 그와 4명의 또 다른 주워진 형제들과 살게 됩니다.

찌꺼기는 아이에게 진흙이라는 뜻의 ‘오니’라는 이름을 붙여줍니다.

오니는 더미의 강에서 하루 종일 맨손으로 모래를 퍼서 파는 일을 하며 온 가족을 먹여 살립니다.

어느날 제국의 특사들이 더미로 파견되어 옵니다.

그 특사들 중에는 황제의 하나밖에 없는 동생이자, 마법사인 이안도 있었습니다.

오니는 항상 망토를 뒤집어쓰고 있는데 이안은 그 모습에 반하게 됩니다.

이안은 어렸을 때 아름다운 어머니가 거울을 보고 늘 자신이 못생겼다고 하는 걸 듣고 자란 탓에, 미적감각이 반대로 형성된 사람이었습니다.

제국에서 아름답다고 칭송받는 자신의 얼굴도 못 생겼다고 생각하고 삽니다.

눈이 발에 달린 이안은 맨손으로 강을 파대서 상처가 많고 못생긴 오니의 손을 예쁘다고 말해줍니다.

그 후로 이안은 오니의 주변을 맴돌며 오니가 모르게 도와주곤 하는데요.

모래를 사주거나, 오니가 자주 가는 빵집을 사서 오니에게 빵을 아주 싸게 판다거나 하는 일입니다.

어느날 도시로 갔던 오니의 형제들이 찾아오는데요.

장남인 어조비와 둘째 구더기였습니다.

어조비는 동생들과 아버지 걱정을 하며 온 것이었지만 구더기는 다른 속셈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구더기는 돈을 벌기 위해 날개족인 오니를 팔 생각으로 납치합니다.

그때 티란이라는 날개족 사람이 더미로 찾아옵니다.

티란은 오니의 생물학적 아버지로, 오니를 낳은 이스가 자기 몰래 버린 아이를 찾으러 온 것이었는데요.

하지만 그때 이미 오니는 납치된 후였고 티란은 오니가 그 아이인 줄 모르고 더미를 떠납니다.

그리고 이안은 납치된 오니를 구하러 갑니다.

간단히 좌표이동을 해 오니를 구한 이안은 그대로 오니를 자신의 벙커로 데려가서 하룻밤을 보냅니다.

다음날 이안은 자신의 침대에 누워있는 아름다운 금발의 미인을 보게 됩니다.

그 아름다운 미인은 오니였으나 눈이 발에 달려있는 이안은 갑자기 나타난 못난이에 분노합니다.

그리고 바로 나가라고 말하는데요.

어젯밤 자신을 아껴주던 남자가 바로 다음날 차갑게 돌변하자 오니는 가슴이 아팠지만 이내 순순히 작별을 고하고 방을 나옵니다.

나가는 길에 오니는 이안의 부하인 벤자민을 만납니다.

사실 벤자민은 오니를 더미에서 한 번 본 후 계속 찾아다니고 있었습니다.

천사같은 모습의 오니에게 반한 벤자민은 오니가 하룻밤을 보내고 쫓겨났다는 말에 듣게 됩니다.

화가 나는 한 편, 다행이다라고 생각한 벤자민은 어리숙한 오니에게 혼인신고서를 작성하게 합니다.

그리고는 식당에 데려가 식사를 하게 하는데요.

식당에 이안이 나타나 그 상황을 보게 되고 질투를 느낍니다.

그래서 오니와 사귀기로 해버립니다.

그날밤 이안의 방으로 티란이 찾아옵니다.

이안의 침대에서 자고있는 오니를 보고 티란은 자신의 아이라는 것을 바로 알아봅니다.

티란은 오니를 날개족들이 사는 협곡으로 데려가려고 하지만 이안이 막아서 데려가지 못합니다.

티란은 물러나는듯 하지만 다음날 더미에 있는 오니를 만나는데요.

자신이 아버지라고 밝히며 가지 않으려는 오니를 억지로 협곡으로 데려갑니다.

날개족의 협곡은 오니의 존재로 인해 발칵 뒤집히게 됩니다.

오니를 낳은 엄마는 이스라는 날개족인데, 장로인 엄마에게 충분한 사랑을 받지 못해 삐뚤어진 성격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늘 자신의 앞에서 1등을 채가던 티란에 대해 분노의 감정을 가지고 있었는데 술을 마시고 티란과의 아이가 생겨나자 우울증까지 걸려버립니다.

그래서 아무에게도 말하지 않고 알을 낳아 더미에 버린 것이었습니다.

이스는 아이를 버린 벌로 오니가 치료할 때마다 함께하는 일을 하게 됩니다.

오니는 오염된 더미에서 오래 살아서 날개가 많이 썩은 상태여서 치료가 필요한 상황이었기 때문입니다.

협곡에서 지내며 오니는 이안에게 편지를 보내는데요.

글을 쓸 줄 모르는 오니는 협곡에서 아버지와 지내고 있다는 그림편지를 보내는데, 이안은 그걸 다른 남자와 사랑에 빠졌다는 뜻으로 해석합니다.

열이 받은 이안은 바로 전투기를 몰고 협곡으로 쳐들어갑니다.

이안은 이스와 함께 있던 오니를 빼앗아 협곡과 제국의 중간에 위치한 마을로 갑니다.

오니에게 어떻게 된 거냐고 추궁하는데 오니는 자신이 아파서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말합니다.

이안은 어쩔수없이 오니를 협곡으로 다시 데려가는걸 허락해줍니다.

대신 잠은 늘 이곳에서 자기와 자고 치료가 끝난 후에는 제국으로 돌아간다는 조건을 달았습니다.

티란도 이에 동의하게 됩니다.

오니는 협곡에서 날개 수술을 받고 점차 건강을 되찾습니다.

더이상 치료가 필요없어지고 오니는 협곡을 떠나 이안과 제국으로 가게 됩니다.

가기 전 오니는 티란, 이스와 가족으로써 함께 식사를 합니다.

이안과 오니는 제국에 도착한 뒤 결혼승낙을 받기 위해 이안의 형인 황제를 만나러 갑니다.

황제는 눈이 발에 달린 이안이 선택한 오니가 굉장히 못 생겼을 거라고 생각해서 함정까지 설치해 놓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본 오니는 천사를 닮은 존재였고 황제는 속이 쓰릴 정도로 부러움을 느낍니다.

그렇게 두사람은 결혼 승낙을 받고 소중한 사람들이 참석한 조촐한 결혼식을 올리며 부부가 됩니다.

리뷰

이 작품의 주인공인 오니는 정말 귀엽고 착한 아이입니다.

오니의 대사가 나올 때마다 정말 어디로 통통 튈지 모른다는 생각을 하며 읽게 됩니다.

내용이 어두운 편은 아니나 엄마인 이스와 오니가 함께 있는 장면들을 읽을때는 왠지 마음이 울적해지는 것 같습니다.

특히나 이안이 오니를 데려가려고 협곡으로 갔을 때, 오니가 강에 빠지려는걸 이안이 마법으로 구해내는 장면이 있습니다.

그때 이스는 오니가 강에 빠진 줄 알고 몇 번이고 강으로 들어가 오니를 찾는데요.

그 부분에서 이스가 오니에게 느끼는 감정들을 잘 표현된 것 같습니다.

이안은 괴이한 성격이지만 오니에게만은 너무나도 다정한 사람입니다.

오니의 당황스러운 행동에도 늘 준비가 되어있는 듯 나오는 대답하는 모습도 재밌는 요소 중 하나인 것 같습니다.

끝부분에 그냥 결혼하고 마무리된 것은 아쉬운 듯 하나, 속편인 ‘허니’가 있습니다.

거기에서 둘의 결혼생활과 더불어 임신,출산,육아 내용도 나오니 그것도 리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전반적으로 말랑말랑 부드러운 분위기의 작품으로 한번 읽어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본문발췌

아이는 처음 본 세상이 신기한지 눈을 동그랗게 떴다. 고개를 젖혀 하늘을 쳐다보더니 날개로 밝은 태양을 가렸다. 날씨는 포근했으나 막 나온 아이에게 추었다. 그래서 아이는 날개 속에서 몸을 웅크리고 앉아 엄마를 찾아 끼우, 끼우 울었다. 곧 어미가 물어다 줄 신선한 과일즙을 떠올리며. 아이가 아무리 울어도 어미는 오지 않았다. 금세 제 신세를 깨달은 아이는 몸을 웅크린 채 눈을 감았다.


“나리.”

“…….”

“나리, 좋아해요. 맛있는 샌드위치보다, 베개 아래 숨겨둔 그림책보다요. 이상하게 마지막이라고 생각하니, 제가 나리를 좋아한다는 걸 알아버렸어요.”

“계속 좋아해도 돼. 내가 그걸 허락해줄게.”


“나리, 화나셨어요?”

“입어.”

“네?”

“입고 그대로 나가.”

“네?”

“성격이 더러운 건 참아도 못생긴 건 질색이야.”

“나리, 하룻밤이라도 좋아할 수 있게 허락해주셔서 감사해요.”

“……”

“많이, 많이 좋아했어요.”


“죄, 죄송해요.”

“죄송해?”

“네.”

“평생 죄송하고 살아. 넌 계속 내게 잘못할 거 같으니까.”

“네?”

“못생긴 네 얼굴을 계속 보게 생겼으니까.”

“그게 무슨.”

“못난이인 너를 책임져준다고.”


“이제 나리도 말해주세요. 저는 나리의 연인이죠?”

“아니.”

“그러면요?”

“연인 말고 부부. 대공비 자리에 취직시켜줄게.”

“대, 대공, 네?”

“결혼하자는 말이야. 치료가 끝나면, 나와 제도로 가서 결혼해.”


“이게 뭐에요?”

“우기가 결혼하기까지 들어간 비용이야.”

“얼마나 들어갔어요?

“거의 500금.”

“500금이요?”

“딱 잘라 250금이야. 갚아.”

“네?”

“내뺄 생각의 하지 않는 게 좋을 거야. 결혼 비용은 같이 부담해야지.”

“못 갚으면 어떻게 돼요?”

“갚을 때까지 평생 같이 살아야지.”

“아.”

오니는 볼을 밝혔다. 평생 갚지 말까, 오니는 나쁘고도 행복한 고민에 빠진다.


Leave a Comment